안녕하세요! 소개하는 남자
소남이 입니다!
오늘은 성병 3탄
헤르페스성병을 알아보기 전에
우선 성병 병원체의 종류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성병◇
세균/바이러스/원충/기생충류로 나누는데
세균 원충 기생충의 경우는
쉽게 치료가 가능하나
바이러스 질환의 경우
치료가 아닌 병변을 제거하거나
대증요법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정도로만 진행합니다.
세균 =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즈마, 유레아플라즈마
바이러스 = 헤르페스 2형, HPV(인유두종, 곤지름), HIV 바이러스(에이즈)
원충/기생 충류 = 사면발니, 트리코모나스 등이 있습니다.
그중 오늘은 헤르페스 성병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헤르페스란?◇
헤르페스는 바이러스로
1형과 2형으로
나눕니다!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8~9종류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에 1형과 2형이 많이 알려져 있어요!
1형은 입술, 안면, 눈 부위에
증상이 나타나고
2형은 남성의 성기나 여성의 음부 쪽에
증상을 일으킵니다.
헤르페스 1형과 2형은
어느 한쪽에만 생기는 것은 아니고
1형이 성기 쪽에 날 수도 있고
2형이 입술 쪽에 날 수도 있다고 해요.
그래서 무조건 1형 = 입술
2형 = 성기는 아니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해요!
◇증상◇
헤르페스 2형의 경우
60%는 증상이 없고
40%는 증상이 있다고 하는데
증상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수포성 병변이
생기는 것은 아니고
일부는 요도염, 배뇨통 등
비특이적 증상도 나타난다고 합니다.
헤르페스 1형의 경우
한국인의 60% 가까이
걸렸다고 보고 됐을 정도로
흔하다고 합니다.
헤르페스 2형의 경우는
100% 성병은 아니지만
대부분 성병으로 구분합니다!
◇진단◇
직접 병변을 솔로 긁어 검사하는
직접적 검사 방법이 있고
혈청학적으로 하는
간적접 검사 방법이 있습니다.
직접적 검사 방법이 정확성이 높고
항체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간접적 검사 방법인 혈청 검사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치료◇
헤르페스의 경우 바이러스로
감염이 되면 대증요법과
병변을 제거하는 정도로 진행합니다.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다 하여
치료된 것이 아니고
일부 몸에 잠복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다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지름, 자연치유 가능할까? (0) | 2020.06.26 |
---|---|
조현병, 범죄 감형...? (0) | 2020.06.24 |
매독 ! 증상부터 치료까지 전부 ! (0) | 2020.06.23 |
역류성 식도염에 좋은 음식, 먹고 바로 자면 소 된다. (0) | 2019.12.11 |
항문 튀어나옴, 치질 증세 2탄 (0) | 2019.12.10 |
댓글